본문 바로가기
육아 생활건강

연말정산 2배 환급받는 연말 소비 꿀팁

by 꾸꾸제이 2024. 12. 9.
반응형






1.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미리보기 정검

*연말정산의 기초

- 소득공제 : 세금 부과의 대상이 되는 소득의 크기를 줄이는 것
- 세액공제 : 산출 된 세액에서 세금 자체를 깎아주는 것

요약 - 소등공제+세액공제로 내야할 세금을 줄여버리기!

*연말정산 미리보기 활용법

1.[국세청 홈택스 ->연말정산 -> 연말정산 미리보기]에서 확인
2. 국세청에서 미리 수집한 1~9월까지 신용카드 사용 금액 확인

3. 각 항목별 공제 금액을 올해 예상액으로 수정 후 예상 세액 계산
4. 소득+세액공제 항목을 점검 후 부족한 부분에서 절세 전략 짜기


2. 이번 연말정산부터 적용되는 내용들
*연말정산 바뀐 내용
- 고향사랑기부금 신설 : 10만원 이하는 지방세 포함 전액 세액 공제
10만원 초과는 15% (500만원 한도 )
- 신용카드 소득공제 : 7월 1일 이후 지출한 영화 관람료는 문화비 포함 대중교통 사용분 공제율 상향 ( 40% -> 80%)
-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: 연간 150만원 -> 200만원
- 연금계좌 공제한도 상향
: 400만원 (퇴직연금 포함 700만원 ->600만원(900만원)
- 월세 세액공제 대상주택 기준시가 상향
: 3억원 -> 4억원

3. 신용, 체크카드 소득공제 팁

*소득공제 조건
- 연간 총 소득 25% 이상을 소비하면 초과분부터 소득공제 적용
- 연소득 7천만원 이하 근로자의 최대 공제 한도는 300만원까지
- 사용한 전액이 아니라 , 결제 수단별 공제 비율에 따라서 소득공제

*연말 소비 전략
1. 연간 소득의 25%까지는 신용카드로 소비하기(공제율 가장 낮음)
ex. 연소득 3천만원 -> 연간 신용카드 사용 금액은 750만원 까지
2. 9월까지의 사용 금액이 연소득의 25% 이상이라면, 연말까지는 체크카드 또는 현금 소비 (+혜택 좋은 신용카드로 대중교통 이용)

4. 올해 추가로 챙겨야하는것
*주택자금특별 소득 공제
- 1년동안 청약 저축에 납엡한 금액의 40%까지 소득 공제 가능하며, 납입액은 월 20만원까지 최대 한도로 인정해 줌
- 소득이 많지 않다면 한도를 채울 필요 없이 월 10만원 저축 추천
*고향사랑기부금 세액공제
- 지방 자치 단체에 기부한 금액만큼 세액 공제를 해줌 (올해 신설)
-10만원 이하로 기부했을 경우 기부액의 30% 만큼의 답례품을 제공하며 지방세 포함 전액 세액공제됨
- 기부금액 10만원 초과는 15% 세액공제, 500만원 한도

5. 월세 세액 공제 신청하기
*세액공제 조건
-연소득 7천만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는 월세액의 15%를 세액 공제 받을 수 있음 (연소득 5500만원 이하는 17%세액 공제)
-기준시가 4억원 이하, 전용 면적 85제곱미터 이하 주택 대상
*신청방법
- 임대차 계약서 사본, 월세액을 지급했음을 증명하는 통장 거래 내역,주민등록등본 등의 서류가 필요하며,전입신고를 필수로 해야함
- [홈택스 ->상담/제보 -> 현금영수증 민원신고 -> 주택 임차료] 에서 신청 가능하며 , 월세 지급일로 부터 3년 이내에 신고 해야 함

6. 학자금 대출 상환해서 추가 세액 공제 받기
* 교육비 특별세액 공제
- 학자금대출 원리금 상환 시 상환 금액 전액의 15% 세액 공제
- 올해는 대학교 등록금, 입학금 외에도 수능 응시료, 대학입학전형료도 교육비 공제 대상에 포함

*학자금 대출 세액 공제 공략
- 학자금 대출이 있다면 원리금 상환은 취업 후에 본인이 직접 나눠서 상환하는 것이 유리함
(본인이 상환 시 공제 한도 없음)
- 장학금으로 감면된 금액, 생활비대출 상환은 공제 대상 x
- 세액 공제 증면 서류 (교육비 납입 증명서)를 회사에 제출해야함

7. 의료비는 가족 중 한 사람의 카드로 몰아 쓰기
*의료비 특별세액 공제
- 본인이나 부양 가족을 위해 1년간 지출한 의료비가 총 급여액의 3% 초과하면, 초과분의 15%는 세액 공제 대상
- 신용카드 세액 공제와 중복으로 공제 받을 수 있는 항목
*의료비 지출 전략
- 의료비 특별세액 공제에 들어가는 부양 가족은 나이제한 없어서 가족과 함께 거주한다면 의료비를 지출 할 때 소득이 가장 낮은 사람의 카드로 몰아주는 것이 유리함
- 미용, 성형 수술 비용이나 한약 제조 비용 등은 공제가 되지 않음

8. 연금저축펀드 저축 전략
*연금저축펀드 세액 공제 조건
- 올해 연말 정산 부터는 연금 저축 600만원, 퇴직연금 300만원 까지 연금 계좌 공제 한도가 상향됨 (저축액의16.5% 세액 공제)
- 최대 한도 (월 75만원) 납입 시 약 148만원을 환급 받을 수 있음

*저축 전략
- 환급액이 큰 편이지만 연금 저축에 납입하는 금액은 55세 이후 까지 묶이게 되고 중도 해지 시 공제액은 다시 뱉어내야 함
- 연금 저축 계좌와 퇴직 연금 (IRP)을 ETF나 펀드 등에 투자하여 계좌를 운영 할 수 있음(절세+ 투자 수익 재태크 방법)

반응형